'Daily English 오늘의 영어 공부 '에 해당되는 글 7건

  1. 2020.11.16 진행중 을 영어로???
  2. 2018.10.23 content vs contents
  3. 2018.07.15 qualified opinion vs unqualified opinion
  4. 2018.03.15 [요일문제] weekend vs weekends
  5. 2018.02.27 don't patronize me
  6. 2018.02.27 toward vs towards
  7. 2018.02.26 done 과거분사? 형용사?

순간적으로 on progress 라고 얘기했는데

정확하게는 in progress 라고 해야한다

아니면 ongoing(1음절에 강세) 또는 under way라고 표현할수있다.

'Daily English 오늘의 영어 공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ent vs contents  (0) 2018.10.23
qualified opinion vs unqualified opinion  (0) 2018.07.15
[요일문제] weekend vs weekends  (0) 2018.03.15
don't patronize me  (0) 2018.02.27
toward vs towards  (0) 2018.02.27
Posted by 현문현답
,

content 가 맞을까? contents가 맞을까?


네이버 영한사전을 찾아보면..

https://endic.naver.com/enkrEntry.nhn?sLn=kr&entryId=8299ef1fa5f34c679c3a552773316d55


1.[pl.] contents (어떤 것의) 속에 든 것들, 내용물

He tipped the contents of the bag onto the table.

그가 가방 속에 든 것들을 탁자 위에 쏟아 부었다.

Fire has caused severe damage to the contents of the building. 

화재로 그 건물 내부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한 상태이다.

She hadnt read the letter and so was unaware of its contents.

그녀는 그 편지를 안 읽어서 내용을 모르고 있었다.


2.[pl.] contents (책의) 목차

a table of contents 

목차(표)

a contents page 

목차 페이지


3.[sing.] (책·연설·프로그램 등의) 내용[주제]

Your tone of voice is as important as the content of what you have to say. 

목소리의 어조는 말해야 할 내용만큼 중요하다.

The content of the course depends on what the students would like to 

그 교과과정의 내용은 학생들이 공부하고 싶어 하는 것에 따라 정해진다.

Her poetry has a good deal of political content. 

그녀의 시는 정치적 주제를 많이 다룬다.

4.[sing.] [명사 뒤에 따라 와서] 함유량, 함량

food with a high fat content 

지방 함량이 높은 식품

the alcohol content of a drink 

술 한 잔 속의 알코올 함유량

5.[U] (컴퓨터) 콘텐츠

online content providers 

온라인 콘텐츠 제공 회사들



정리해보면..

(물리적인)내용물, 목차 라는 뜻일때는 =>  contents

내용(주제), 함량, 온라인콘텐츠 라는 뜻일때는 => content


5번뜻에도 보다시피 한글로는 '콘텐츠'라는 표기가 많이 쓰이는데, 일단 첫글자부터 발음이 콘이 아닌 칸[kɑːn]' 이고, 형태도 복수인 contents가 아니라 단수인 content 이다.



'Daily English 오늘의 영어 공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행중 을 영어로???  (0) 2020.11.16
qualified opinion vs unqualified opinion  (0) 2018.07.15
[요일문제] weekend vs weekends  (0) 2018.03.15
don't patronize me  (0) 2018.02.27
toward vs towards  (0) 2018.02.27
Posted by 현문현답
,

회계감사 용어중에 unqualified opinion 과 qualified opinion 이라는 용어가 있다. 

하나는 '적정의견'으로서 '재무재표가 적정하게 작성되었다.' 라는 뜻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말로 '한정의견'으로서 '재무재표가 일부 적정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라는 뜻이다.


qualified vs unqualified  둘중 어는게 '적정의견' 이고 어느게 '한정의견' 일까?


qualify는 '자격을 주다'라는 동사로 가장 흔하게 알고 있고, qualified 라는 형용사 역시 '자격이 있는' 이라는 뜻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반대로 unqualified는 '자격이 없는' 이라는 뜻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그렇다면 적정의견은 잘 작성되었으니까 자격이 있는 qualified?

한정의견은 잘못 작성된 부분이 있으니까 자격이 없는 unqualified?


정답부터 이야기하면

적정의견 = unqualified opinion

한정의견 = qualified opinion 

이 맞다.


헷갈린다고? 

영한사전에 qualify의 동사의 뜻을 찾아보면 6번째에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6. STATEMENT | [타동사][VN] (앞에 한 진술에) 단서를 달다

I want to qualify what I said earlier—I didn't mean he couldn't do the job, only that he would need supervision. 예문 발음듣기 반복듣기

이야기를 앞서 말한것으로 끝내는게 아니라, 무엇인가 단서(但書)를 달아서 의미를 제한하는 행위가 바로 qualify이다.

즉, 이 뜻이 과거분사(형용사) 형태인 qualified 가 되었을때는 '단서(但書)가 달린' 이라는 뜻이 된다. 무엇인가 '조건 or 제한이 걸려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부정접두어가 붙은 unqualified 의 경우에는 '조건 or제한이 없이 완벽하다'는 뜻이 된다.


예문으로 쓰임새를 확인해 보자. 

각각은 명사 앞에서 한정적으로 쓰여 명사를 수식한다.


1) Unqualified

The event was not an unqualified success.

그 행사가 완전무결한 성공작은 아니었다.


I gave her my unqualified support. 

나는 그녀에게 나의 전폭적인 지지를 보냈다.


2) Qualified

The plan was given only qualified support. 

그 계획에는 단서가 달린 지지가 있었을 뿐이다.

The project was only a qualified success. 

그 프로젝트는 제한적인 성공작밖에 되지 못했다.




 

'Daily English 오늘의 영어 공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행중 을 영어로???  (0) 2020.11.16
content vs contents  (0) 2018.10.23
[요일문제] weekend vs weekends  (0) 2018.03.15
don't patronize me  (0) 2018.02.27
toward vs towards  (0) 2018.02.27
Posted by 현문현답
,
Q1. 뭐가 맞는 표현일까?
(1) I used to go fishing on weekends.
(2) I went shopping on the weekend.

첫번째는 복수형 on weekends이고
두번짜는 단수형에 정관사가 붙어서 on the weekend 가 되었다.

정답은?

=> 둘다 맞는 표현이다.

1) weekend는 주말(토요일&일요일)이라는 뜻의 명사이다. 이 명사는 전치사 at 또는 on 과 같이 쓰이는데 영국식은 at 미국식은 on을 쓴다.

2) on weekends 라는 뜻은 주말마다 반복된다는 뜻이다. 여러개의 주말이므로 복수형이 된다.해석해보면 첫 문장은 '나는 주말마다 낚시를 하곤 했다' 라는 뜻이된다.

3) on the weekend 는 특정 주말을 일컫는 말이다. 하나의 특정 주말을 가르키므로 정관사 the를 동반하고 단수형이 된다. 즉, 두번째 문장은 '나는 주말에 낚시를 했다.' 라는 뜻이다. (토요일일수도 있고 일요일일수도 있음.)

Q2. 이번 주말은 영어로 뭘까?
this weekend vs this weekends

=> 주말은 토요일과 일요일이다. 한 주에는 토요일 일요일 2개의 요일이 있는 것이지 주말은 2개가 아니라 1개이다. 정답은 this weekend.

Q3. 나는 이번 주말에 영어공부를 할 것이다.
I will study English (this weekend / on this weekend).
괄호중에 어떤 것이 맞을까?

=> 정답은 this weekend 가 맞다. this/last/next 등 weekend의 수식어가 붙었을때는 전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Q4-6 오늘은 1월 3일(월)이다
Q4. 'this weekend'는 언제일까?
(1) 1.1~1.2
(2) 1.8~1.9

=> 이번 주말은 앞으로 다가오는 1.8~1.9일 이다.

Q5. following weekend는 언제일까?

=> 다가오는 주말은 1.8~1.9일이다. this weekend와 같다.

Q6. next weekend는 언제일까?

=> 다가올 주말은 1.8~1.9이다. 하지만 다음주말은 다가올주말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다음 주의 주말 (the weekend of the next week)을 일컫는다. 고로  1.15~1.16일이 된다.

Q7. 나는 이번 주말에 서울에 있었다. 를
'I was in Seoul this weekend.' 로 영작하였다. 어색한 이유는? 어색한 부분을 고치면?

=> '이번 주말'은 '다가오는 주말'을 일컫지만 한국어에서는 '지난 주말'을 일컫는데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즉, 'this weekend'는 지난 주말인 'last weekend' 로 바뀌어야 한다.

Q8. 'Did you enjoy a long weekend?' 이 문장에서 'a long weekend'는 무슨뜻일까?

=> 주말이 체감상 길었다는 걸까? 'a long weekend'는 주말에 휴일이 붙어서 연휴가 되었을 경우를 말한다.

Q9. 한 주의 첫번째 날 (the 1st day of the week)은 월요일일까 일요일일까?

=> 쌩뚱맞은것 같지만, 답이 갈린다. 달력은 일요일이 첫째날인데, '월화수목금토일'을 생각해보면 월요일이 첫날같기도 하다. 영어로는 Sun,Mon,Tue...순인데 그럼 일요일이 첫째날인가? 주말은 토요일,일요일이니까 시작은 월요일이 맞을까?
정답은, 나라 (문화)에 따라 다르다이다. 유럽은 시작이 월요일이다. ISO 표준도 월요일을 주의 시작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기독교에서는 한주의 시작을 일요일로 본다. 미국에서는 일요일을 첫째날이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 우리나라도 그 영향을받아 달력의 첫요일이 일요일이 되었다.

Q10-11 오늘은 3월 5일 수요일(Tuesday)이다.
Q10. 'this Monday'는 언제일까?
1) 3.3
2) 3.10

=> 애매하지만 문장의 시제를 봐야한다. 'I will see the movie this Monday.'라면 'this Monday'는 다음주의 월요일인 3.10일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으로는 다가오는 월요일을 의미한다.

Q11. 'next Monday'는 언제일까?

=> next Monday는 'Monday of next week'를 의미한다. 즉 3.10일이다.

Q12-13. 오늘은 4월 5일 (화요일)이다.
Q12. this Friday는 언제인가?
Q13. next Friday는 언제인가?

=> 'this Friday'는 다가오는 금요일이므로 4월 8일이다. 'next Friday'는 4월 8일일까? 4월 15일 일까? 4월 8일로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지만 대체로는 4월 15일로 통한다.

Q14. 오늘은 7월 3일 금요일이다. next Sunday는 언제인가?
1) 7.5
2) 7.12

=> 애매한 경우다. 원어민도 답이 갈리는것을 볼수있다. 한주의 시작을 일요일로 본다면 'Sunday of next week'는 7월 5일이고 이날이 'next Sunday'가 되어하는데, 그러면 'upcoming Sunday'인 'this Sunday'역시 7월 5일이 된다. 반면에, 한주의 시작을 월요일로 본다면 7월 5일이 'this Sunday' 7월 12일이 'next Sunday'가 된다. 

'Daily English 오늘의 영어 공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ent vs contents  (0) 2018.10.23
qualified opinion vs unqualified opinion  (0) 2018.07.15
don't patronize me  (0) 2018.02.27
toward vs towards  (0) 2018.02.27
done 과거분사? 형용사?  (0) 2018.02.26
Posted by 현문현답
,
patron 은 후원자,고객 의 뜻을 가지고습니다.
그럼 Don't patronize me! 의 뜻은 무엇일까요,?
patronize 의 뜻을 사전에 찾아보면...


1(못마땅함) (윗사람 행세를 하며) 가르치려 들다, 깔보는 듯한 태도로 대하다, 아랫사람 대하듯 하다
Some television programs tend to patronize children.

2 [타동사][VN] (격식) (특정 상점·식당 등을) 애용하다
The club is patronized by students and locals alike. 

3[타동사][VN] 후원하다
She patronizes many contemporary British artists. 

patron 의 뜻과는 달리 1)번 뜻이 있습니다. 길어서 복잡하지만 결국 '무시하다. 깔보다. 업신여기다.' 의 뜻입니다. 신기하죠?

복습해 봅시다.



a) millions of people patronize the outlets each day. 

b) Don't patronize me, and don't lie to me.

c) We like to patronize artists, men of talent.

d) Kid's don't like to be patronized any more than adults do.

e) It's a charming little restaurant which is mostly patronized by locals.

'Daily English 오늘의 영어 공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ent vs contents  (0) 2018.10.23
qualified opinion vs unqualified opinion  (0) 2018.07.15
[요일문제] weekend vs weekends  (0) 2018.03.15
toward vs towards  (0) 2018.02.27
done 과거분사? 형용사?  (0) 2018.02.26
Posted by 현문현답
,

두가지 모두 같은 뜻을 가진다.

미국에서는 toward, 영국에서는 towards를 조금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Daily English 오늘의 영어 공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ent vs contents  (0) 2018.10.23
qualified opinion vs unqualified opinion  (0) 2018.07.15
[요일문제] weekend vs weekends  (0) 2018.03.15
don't patronize me  (0) 2018.02.27
done 과거분사? 형용사?  (0) 2018.02.26
Posted by 현문현답
,

done은 do 의 과거분사 형태이다.


과거분사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지만, 주의해야할 점은 수동태에서도 과거분사가 사용되는데, done은 수동태 형태로 해석되지 않기도 한다는 점이다.


즉 done은 "끝난,완료된" (finished or completed) 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보는것이 맞다. (서술적 용법으로만 사용)



The job’s nearly done. 

=> 이 경우는 수동태로 해석이 가능하다.


As soon as I’m done, I’ll give you a call.

=> 내가(I) 누구에게 '끝냄을 당해지는 것' 것인가? 그렇지 않다. '나'는 일을 끝마치는 행동의 주체이지 객체가 아니다. 즉, 이 문장은 수동태가 아니다. 


 Are you done with this magazine?

=> 여기도 마찬가지로 '나'는 이 잡지를 끝낸것이지, 잡지가 나를 끝낸 것이 아니다.



 I’ll be glad when the exams are over and done with.

=> over and done with 는 '완전히 끝난' 이라는 하나의 숙어적 표현이다. 아래와 같이 전치사 with 의 목적어를 취할 수도 있다.


I'm over and done with him.


done의 다른 뜻으로는, '충분히 익은 (cooked enough to eat)' 라는 뜻도 있다.


Is the pasta done yet?

The meat is quite done yet.


=> 즉 고기의 굽기를 설명할때 쓰는, well done , underdone 이라는 표현도 여기서 나온 것이다.

'Daily English 오늘의 영어 공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ent vs contents  (0) 2018.10.23
qualified opinion vs unqualified opinion  (0) 2018.07.15
[요일문제] weekend vs weekends  (0) 2018.03.15
don't patronize me  (0) 2018.02.27
toward vs towards  (0) 2018.02.27
Posted by 현문현답
,